logo

물리학에서 선속(플럭스)이란? 📂수리물리

물리학에서 선속(플럭스)이란?

정의1

물리학에서 선속flux이란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지나가는(충돌하는) 입자의 수(혹은 에너지, 운동량 등의 물리량)를 의미한다. 선속은 주로 대문자 파이(피) Φ\Phi로 표기한다.

Φ=physical quantityarea×time \Phi = \dfrac{\text{physical quantity}}{\text{area} \times \text{time}}

설명

  • 전기장의 선속:

    S\mathcal S를 지나는 전기장 E\mathbf{E}의 선속은 다음과 같다.

    ΦE=SEda \Phi_{E} = \int_{\mathcal S} \mathbf{E} \cdot d\mathbf{a}

  • 기체의 선속:

    압력이 pp, 온도가 TT, 질량이 mm인 기체의 선속은 다음과 같다.

    Φ=14pkBT8kBTπm=p2πmkBT \Phi = \dfrac{1}{4} \dfrac{p}{k_{B}T} \sqrt{\dfrac{8 k_{B} T}{\pi m }} = \dfrac{p}{\sqrt{2 \pi m k_{B} T}}

    kBk_{B}볼츠만 상수이다.

  • 파동함수의 확률흐름(선속):

    파동함수 ψ\psi의 확률 흐름은 다음과 같다.

    j(x,t)=2mi(ψψxψψx)(1) j(x,t) = \frac{\hbar}{2m\i}\left( \psi^{\ast}\dfrac{\partial \psi}{\partial x} - \psi\frac{\partial \psi^{\ast}}{\partial x}\right) \tag{1}


  1. Stephen J. Blundell and Katherine M. Blundell, 열 물리학(Concepts in Thermal Physics, 이재우 역) (2nd Edition, 2014), p83-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