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수학에서의 리트랙트
📂위상데이터분석위상수학에서의 리트랙트
정의
위상공간 X 의 부분공간 A⊂X 가 주어졌고, 항등함수를 id 라 나타내자.
- 인클루젼 i:A→X 에 대해
r∘i=idA:A→A
를 만족하는 연속 전사 함수 r:X→A 가 존재하면 r 을 리트랙션retraction, A 를 X 의 리트랙트retract라 한다. 다시 말해, r 은 다음을 만족하는 연속 전사 함수다.
r(a)=a,∀a∈A
- 다음을 만족하는 리트랙션 r:X→A 가 존재하면 A 를 X 의 데포메이션 리트랙트deformation Retract라 한다.
i∘r≃idX:X→X
다시 말해, A 가 X 의 데포메이션 리트랙트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호모토피 F:X×I→X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F(x,0)=F(x,1)∈F(a,t)=xAa,x∈X,x∈X,a∈A
설명
리트랙트움츠리다, 들어가다는 그 의미 그대로 전체공간 X 를 그보다 작은 공간 A 로 어떻게든 구겨넣되 원래의 점들 a∈A 는 그대로 유지되는 사상이다. 데포메이션 리트랙트의 정의에서 주의해야할 점은 i∘r=idX 가 아닌 i∘r≃idX 라는 것, 즉 호모토피 센스에서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리트랙트를 생각함으로써 이제 우리는 수 없이 복잡하고 다양한 공간들을 아주 단순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가령 위와 같이 두께가 있는 원 X 이든 두께가 없는 원 A 든 공간 자체의 성질을 연구함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면 두께가 없는 편이 훨씬 다루기 쉬울 것이다.
강한 데포메이션 리트랙트
데포메이션 리트랙트는 A 에 관계없이 i∘r≃idX 를 만족하는 r 이 존재함으로써 고려되지만, 거기서 상대적 호모토피까지 고려해서
i∘r≃relAidX
를 만족하는 리트랙트 r 이 존재할 때 A⊂X 가 강한 데포메이션 리트랙트strong Deformation Retract라 부른다. 이는 그냥 데포메이션 리트랙트가 아니라 A 에서 점들이 고정되는 것까지 요구하고 있기에 너무 강한 조건으로 보일 수 있고, 실제로도 데포메이션 리트랙트에 비해서는 별로 중요하지 않게 다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