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새우초밥집

설문조사

📋설문조사

23년 3월 15일 현재 설문조사에 응답해주신 13분의 결과를 요약해봅니다.

장점

  • 생새우초밥집에서 좋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모두 체크해주세요: 과목의 다양성설명의 친절함이 10표로 76.9%를 차지했습니다.

단점

  • 생새우초밥집에서 아쉽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모두 체크해주세요: 오탈자와 유지보수, 증명의 상세함, 과목의 다양성이 4표로 30.8%를 차지했습니다.
    • 아무래도 오탈자와 유지보수가 제일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티스토리에서 이관한지 2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수식이 깨지는 문제를 매일 발견해서 고치고 있습니다. 관리자들이 주기적으로 순찰을 하고 또 하는데… 이미 작성된 글이 2500개가 넘고, 사실 지금도 내년에 발행 될 새로운 포스트가 작성되고 있어서 근본적인 해결책이 없습니다. 여러분들의 제보가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저희는 10년 전부터 쉬운 제보를 위해서 많은 위험과 불편을 무릅쓰고 익명댓글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증명의 상세함은 저희가 가장 신경을 쓰는 부분이고 생새우초밥집의 존재 이유기도 합니다. 교과서나 인터넷은 교수님들만큼 친절하지가 않으니 우리라도 알아볼 수 있게 꼼꼼히 증명을 남겨놓자는 취지가 컸습니다. 다만 ‘내가 이것을 충분히 쉽게 설명했는가’에 대한 객관화는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오탈자와 마찬가지로 많은 분들이 ‘이해가 안 간다’ 내지 ‘증명이 틀린 것 같다’고 하는 지적들이 그 포스트를 완전하게 만듭니다.
    • 과목의 다양성은 장점에서도 1등이었던만큼 가장 많은 코멘트가 있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 계속 이어가겠습니다.

요청

  • 위에서 선택한 항목에 대해서 하고 싶은 코멘트가 있다면 적어주세요, 생새우초밥집에서 우선적으로, 혹은 향후 다루어졌으면 하는 토픽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22년 1월, 확률론: 이후 확률론 그 자체라기보단 분포이론과 수리통계학 쪽에서 많은 보강이 있었습니다.
    • 22년 1월, 데이터 마이닝: 기초 통계학쪽을 끝내고 나면 진행할 수도 있는데 우선순위가 높지 않습니다.
    • 22년 2월, 양자계산과 양자컴퓨터: 양자정보이론이 연재중입니다. 아직은 기초적인 부분만 다루어서 카테고리 목록에 띄워놓지는 않았지만, 링크를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금씩 진도를 나가고 있습니다.
    • 22년 3월, 계량경제: 문과 쪽은 잘 몰라서 앞으로도 기약이 없습니다. 확률미분방정식 쪽에서 블랙-숄즈 방정식 같은 게 저희 한계가 아닐까 싶네요 ㅠ
    • 22년 3월, 대수기하, 대수위상: 대수기하는 아예 예정에 없고 대수위상은 위상데이터분석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깊게 들어가지 않을 것 같습니다. 관리자들의 전공과 너무 멀어서 그렇습니다…
    • 22년 3월, Information Geometry, Network Theory, Complex System: 잘 몰라서 Information Geometry는 예정에 없습니다. Network Theory는 틈날때마다 보강하고 있고 Complex System은 꽤 큰 규모로 구상 중입니다.
    • 23년 3월, 메타 논리학 정리들: 궁금은 한데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예정 없습니다.
    • 23년 3월, 일반 상대성 이론: 일단 목표이기는 합니다만, 언제 연재를 시작할 수 있을지는 기약이 없습니다..
  • 생새우초밥집 블로그가 발전/보완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 22년 1월, 검색 기능: 문의 반년 뒤(7월)에 통합 검색창이 도입 되었습니다.
    • 23년 3월, 선수개념 정리: 카테고리 단위의 선수과목 추천은 고민도 많이 해봤고 실제로 별로 어렵지도 않은데, 큰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보류해두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포스트 단위의 설명인데, 이런 부분은 ‘설명’ 단락에서 언급되어 있지 않다면 모든 포스트에 적용하기는 다소 버겁긴 합니다. 다만 현재 위키피디아나 나무위키에서처럼 보는 것처럼 ‘틀’을 유지보수하기 편한 형태로 개발해놓은 상태입니다. 얼마나 빨리 도입할지를 논의해보겠습니다. ‘틀’의 도입과는 별개로 각 문서별로 선수 개념에 대해서는 최대한 링크를 달아놓고 있습니다. 예전엔 굳이 그러지 않았지만 최근엔 선수개념에 대한 글이 블로그에 없는 경우엔 새로 글을 써서라도 이해를 돕고자 하고 있습니다.

    증명부분, 가령 수학적인 정리를 증명하는 부분이 있을 때, 미리 알아두어야 하는 개념이나 알고 있으면 도움되는 개념에 해당하는 주제를 따로 기술해놓은 부분이 있었으면 합니다. 예를들어 쌍대 공간을 알기 위해서 해당 페이지를 들어갔을 때, 선형 범함수/유계선형작용소 같은 개념을 알아야 했고, 또 작용소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놈 공간 등을 알아야 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이 페이지의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이러이러한 개념을 알고 있으면 좋다’와 같이 미리 알아두어야 하는 개념을 하단에 따로 링크를 걸어주면 공부하기 편할 것 같습니다.

… 그 외 응원의 말씀도 정말 감사합니다.

정보

  • 사이드바에서 ‘▶ 전체 포스트’를 눌러 티스토리에 있던 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 는 포스트의 개정작업이 끝나 안정된 카테고리입니다.
  • 는 아직 발행되지 않은 포스트가 많은 카테고리입니다.
  • 는 개정작업이 아직 미흡한 카테고리입니다.
  • 🔒 가 붙은 포스트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예비 발행 포스트입니다. SEO(검색엔진최적화) 때문에 잠궈놓았고, 개별 요청이 있으면 열어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