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함수의 미분법
📂함수다항함수의 미분법
공식
다항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dxdxn=nxn−1
- n∈N이면, x∈R에서 성립.
- n∈Z이면, x=0에서 성립.
- n∈R이면, x>0에서 성립.
증명
n∈N
미분계수의 정의에 따라,
dxdxn=h→0limh(x+h)n−xn
이항정리:
(x+h)n=xn+nC1xn−1h+nC2xn−2h2+⋯+hn
이항정리에 따라서,
dxdxn=h→0limh(xn+nC1xn−1h+nC2xn−2h2+⋯+hn)−xn=h→0limhnC1xn−1h+nC2xn−2h2+⋯+hn=h→0lim(nC1xn−1+nC2xn−2h+⋯+hn−1)=nC1xn−1=nxn−1
■
n∈Z
x=0이라 하자. n∈N인 경우, x−n=xn1이므로,
dxdx−n=dxd(xn1)
미분가능한 함수의 성질:
g가 미분가능하면 g1도 미분가능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dxd(g1)=−g2g′
위 성질에 의해 다음을 얻는다.
dxdx−n=dxd(xn1)=−x2nnxn−1=−xn+1n=−nx−n−1
■
n∈R
지수함수의 미분법:
dxd(ef(x))=f′(x)ef(x)
로그함수의 미분법:
dxdlnx=x1
x>0이라고 하자. n∈R인 경우, xn=enlnx이고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법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dxdxn=dxd(enlnx)=dxd(nlnx)enlnx=xnenlnx=xnxn=nxn−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