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신호의 교차상관함수

신호의 교차상관함수

정의1

  • 아날로그 신호

    에너지 신호 fL2(R)f \in L^{2}(\mathbb{R})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 fgf \star gffgg교차상관함수cross-correlation function라 한다.

    (fg)(τ)=Rfg(τ):=f(t)g(t+τ)dt (f \star g)(\tau) = R_{fg}(\tau) := \int_{-\infty}^{\infty} \overline{f(t)} g(t + \tau) dt

    이때 f(t)\overline{f(t)}f(t)f(t)켤레복소수이다.

  • 디지털 신호

    에너지 신호 {xn}2\left\{ x_{n} \right\} \in \ell^{2}의 교차상관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y)[n]=Rxy(m):=nNxnyn+m (x\star y)[n] = R_{xy}(m) := \sum\limits_{n \in \mathbb{N}} \overline{x_{n}}y_{n+m}

설명

정의에 의해 자기상관함수 Rf(τ)R_{f}(\tau)는 교차상관함수에서 g=fg=f인 경우이다.

교차상관함수의 푸리에변환교차 (에너지) 스펙트럼cross (energy) spectrum이라 한다.

Sfg(ω):=Rfg(τ)eiτωdτ=R^fg(ω) S_{fg}(\omega) := \int_{-\infty}^{\infty} R_{fg}(\tau)e^{-i\tau \omega} d\tau = \hat{R}_{fg}(\omega)

같이보기

확률과정


  1. 최병선, Wavelet 해석 (2001) p2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