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분다양체 위의 평행한 벡터필드 📂기하학

미분다양체 위의 평행한 벡터필드

정의1

$M$을 아핀 접속 $\nabla$가 주어진 미분다양체라고 하자. 곡선 $c : I \to M$을 따르는 벡터필드 $V$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면 평행하다parallel고 한다.

$$ \dfrac{DV}{dt} = 0,\quad \forall i \in I $$

정리

$M$을 아핀 접속 $\nabla$가 주어진 미분다양체라고 하자. $c : T \to M (t\in I)$를 미분가능한 곡선이라고 하자. $V_{0}$를 $c(t_{0})$에서의 탄젠트 벡터라고 하자.

$$ V_{0} \in T_{c(t_{0})}M $$

그러면, $V(t_{0}) = V_{0}$를 만족하는 $c$를 따르는 평행한 벡터필드 $V$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설명

평행한 벡터필드가 좋은 이유는 미분해서 $0$이므로 계산량이 줄어 편하기 때문이다.

위 정리에 의해서 $V(t)$는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나므로, $V(t)$를 $V_{0}$의 평행이동parallel translation이라 한다.

그림1.png

증명

전략: 모든 $t \in I$에 대해서, 평행한 벡터필드가 존재하는 근방이 있음을 보이는 것으로 증명한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해당 부분의 끝을 다시 새로운 시작점으로 잡으면 그곳에서부터 어떤 근방까지의 존재성이 보장되므로, 전체 영역에 대해서 정리가 성립하게 된다.


좌표계 $\mathbf{x} : U \to M$을 하나 선택하자. $c(I)$가 어떤 좌표 근방 $\mathbf{x}(U)$에 포함된다고 가정하자.

$$ c(t) = \mathbf{x}(c_{1}(t), \dots, c_{n}(t)) $$

$t_{0}$에서의 탄젠트 벡터를 $V_{0} = \sum_{j} V_{0}^{j} \dfrac{\partial }{\partial x_{j}}$라고 하자.

  • Part 1. 유일성

    이제 $V(t_{0}) = V_{0}$를 만족하는 $c$를 따라 평행한 벡터필드 $V$가 $\mathbf{x}(U)$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평행한 벡터필드의 정의에 의해 다음과 같다.

    $$ \begin{align*} 0 = \dfrac{DV}{dt} =&\ \dfrac{D}{dt} \left( \sum_{j} V_{j} \dfrac{\partial }{\partial x_{j}} \right) = \sum_{j} \dfrac{D}{dt} \left( V_{j} \dfrac{\partial }{\partial x_{j}} \right) \\ =&\ \sum_{j} \dfrac{d V_{j}}{d t} \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j} V_{j} \nabla_{\frac{dc}{dt}} \dfrac{\partial }{\partial x_{j}} \end{align*} $$

    이때 $\dfrac{dc}{dt} = \sum\limits_{i}\dfrac{d c_{i}}{d t} \dfrac{\partial }{\partial x_{i}}$이고, $\nabla_{\frac{\partial }{\partial x_{i}}}\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k} \Gamma_{ij}^{k} \dfrac{\partial }{\partial x_{k}}$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begin{align*} 0 =&\ \sum_{j} \dfrac{d V_{j}}{d t} \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j}V_{j} \nabla_{\sum_{i}\frac{dc_{i}}{dt}\frac{\partial }{\partial x_{i}}} \dfrac{\partial }{\partial x_{j}} \\ =&\ \sum_{j} \dfrac{d V_{j}}{d t} \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i,j}V_{j}\frac{dc_{i}}{dt}\nabla_{\frac{\partial }{\partial x_{i}}} \dfrac{\partial }{\partial x_{j}} \\ =&\ \sum_{j} \dfrac{d V_{j}}{d t} \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i,j}V_{j}\frac{dc_{i}}{dt}\sum_{k} \Gamma_{ij}^{k} \dfrac{\partial }{\partial x_{k}} \\ =&\ \sum_{j} \dfrac{d V_{j}}{d t} \dfrac{\partial }{\partial x_{j}} + \sum_{i,j,k}V_{j}\frac{dc_{i}}{dt} \Gamma_{ij}^{k} \dfrac{\partial }{\partial x_{k}} \\ \end{align*} $$

    $j$는 더미 인덱스이므로 첫항의 인덱스를 $k$로 바꿔주고 정리하면 다음을 얻는다.

    $$ 0 = \sum_{k} \left( \dfrac{d V_{k}}{d t} + \sum_{i,j}V_{j}\frac{dc_{i}}{dt} \Gamma_{ij}^{k} \right) \dfrac{\partial }{\partial x_{k}} $$

    위 벡터가 $0$이기 위해서는, 모든 계수가 $0$이어야 하므로 다음을 얻는다.

    $$ \begin{equation} 0 = \dfrac{d V_{k}}{d t} + \sum_{i,j}V_{j}\frac{dc_{i}}{dt} \Gamma_{ij}^{k}, \quad k=1,\dots,n \end{equation} $$

    이는 ODE 시스템이다. 따라서 초기값 $v_{k}(t_{0}) =V_{0}^{k}$가 주어져있으므로, 피카드 정리에 의해 $V$는 유일함을 알 수 있다.

  • Part 2. 존재성

    $(1)$과 같은 ODE 시스템을 생각해보자. 그러면 피카드 정리에 의해, 모든 $t \in I$에 대해서 해가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가 묘사하는 $V$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1. Manfredo P. Do Carmo, Riemannian Geometry (Eng Edition, 1992), p52-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