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 센싱이란?
정의
$$ \mathbf{y} = \Theta \mathbf{s} $$ $\Theta \in \mathbb{R}^{n \times p}$ 에 대해 $n \ll p$ 일 때, 다시 말해 과소결정계라서 위의 행렬방정식을 만족하는 해 $\mathbf{s}$ 가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고 하자. 이 행렬방정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제약조건으로 가지는 최적화 문제에 대한 스파스 회귀를 압축 센싱compressed Sensing이라 한다. $$ \begin{matrix} \text{Minimize} & \left\| \mathbf{s} \right\|_{0} \\ \text{subject to} & \mathbf{y} = \Theta \mathbf{s} \end{matrix} $$ 여기서 $\left\| \cdot \right\|_{0}$ 은 $0$-놈으로써, 벡터의 $0$ 이 아닌 성분의 갯수로써 정의된다.
설명
압축 센싱에서 압축은 Compressive Sensing이라 적기도 한다.
모티브
압축 센싱의 모티브는 물론 스파스 회귀 그 자체로써, 일반적인 회귀분석에서와 달리 디자인 매트릭스 $\Phi$ 를 측량 행렬measurement matrix, 회귀계수의 벡터 $\mathbf{s}$ 를 시그널signal이라 부르기도 한다1.
위의 그림은 일반적인 행렬방정식의 풀이와 압축 센싱을 시각화한 것으로, 픽셀의 색깔은 해당 성분의 크기를 나타낸다2. 색이 연할수록 $0$ 에 가깝고, 흰색은 아예 $0$ 을 의미한다. $\mathbf{s}$ 를 찾아내는 거야 어찌어찌 할 수 있더라도, 우리는 왼쪽 그림과 달리 오른쪽 그림처럼 $0$ 을 최대한 많이 포함하는 $\mathbf{s}$ 를 찾고 싶은 것이다.
행렬의 곱을 생각해보면 $\mathbf{s}$ 의 어떤 성분이 $0$ 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해 거기에 대응되는 $\Theta$ 의 칼럼이 없이도 $\mathbf{y}$ 를 설명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mathbf{s}$ 의 $0$ 이 늘어난다는 것은 $\Theta$ 이 가로로 얇아진다는 의미에서 압축, 어떤 성분이 $0$ 이 아니라는 것은 필요한 칼럼을 감지했다는 것이므로 압축 센싱이라는 네이밍은 적절하다고 볼 수 있겠다.
어려움 3
문제는 앞서 말했듯 그냥 $\mathbf{y} = \Theta \mathbf{s}$ 만 만족시키면 되는 게 아니라 그런 $\mathbf{s}$ 중 $\left\| \mathbf{s} \right\|_{0}$ 이 가장 작아지는 최적해 $\hat{\mathbf{s}}$ 를 찾아야한다는 것이다.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무식한 방법은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시도해보는 것, 즉 $O \left( 2^{p} \right)$ 만큼의 계산을 하는 것이고 이는 NP-하드nP-hard한 문제다.
당연히 모든 경우의 수를 다 시도하는 것보다는 더 현명하게 문제를 풀 필요가 있고, 그 아이디어 중 하나는 $l_{0}$-놈 $\left\| \cdot \right\|_{0}$ 대신 다른 놈을 사용해보는 것이다. 우선은 가장 만만한 $l_{2}$-놈과 $l_{1}$-놈을 생각해보자.
압축 센싱 문제를 위 그림처럼 기하적으로 생각해보자면, 직선의 방정식 $\mathbf{y} = \Theta \mathbf{s}$ 를 찾되 오른쪽처럼 하나라도 더 많은 성분들을 $0$ 으로 만드는 해를 찾아야 하는 것이다. 이는 라쏘 회귀가 리지회귀와 어떻게 다른지를 기하적으로 설명하는 것과 비슷하다. 적어도 이 둘만 봤을 땐 $l_{2}$-놈보다는 $l_{1}$-놈이 압축 센싱에 더 적합해 보이는데, 그렇다고 $l_{0}$-놈을 타당한 정당화 없이 $l_{1}$-놈으로 대체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한편 여러가지 $q \ge 0$ 에 대해 $l_{q}$-놈을 시각화해서 보면, 한 눈에 보아도 대충 $q \le 1$ 일 때 $\left\| \mathbf{s} \right\|_{q}$ 은 $\left\| \mathbf{s} \right\|_{0}$ 과 비슷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굳이 모든 $0 \le q \le 1$ 을 고려할 건 없고, 딱 $l_{0}$-놈과 $l_{1}$-놈 사이의 차이만 잘 좁혀내면 압축 센싱의 문제는 훨씬 수월하게 풀릴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압축 센싱 문제는 $\Theta$ 가 제한된 등거리 조건를 따를 때 쉽게 풀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독보적인 입지를 가진 메소드로써 정착해 2023년 현재까지도 다방면에 응용되고 있다.
Needell, D., Vershynin, R. Uniform Uncertainty Principle and Signal Recovery via Regularized Orthogonal Matching Pursuit. Found Comput Math 9, 317–334 (2009). https://doi.org/10.1007/s10208-008-9031-3 ↩︎
Brunton. (2022). Data-Driven Science and Engineering : Machine Learning, Dynamical Systems, and Control(2nd Edition): p103. ↩︎
Brunton. (2022). Data-Driven Science and Engineering : Machine Learning, Dynamical Systems, and Control(2nd Edition): p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