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very와 Each 뒤에는 반드시 단수명사가 온다 📂논문작성

Every와 Each 뒤에는 반드시 단수명사가 온다

문법

E가 Every 혹은 Each이라 하고, E 뒤에 올 명사를 N이라 하자.

E 뒤에 오는 N 은 단수여야하고, “E N” 은 통째로 단수 취급된다.

예문

Every

“결론적으로, 유향 그래프에서 모든 커플링 함수는 첫번째 인자 $x_i$ 와 두번째 인자 $x_j$ 로 한 번, 반대로 한 번 해서 두 번씩 호출된다.”

“In consequence, every coupling function in an undirected graph has to be called twice, once with $x_i$ as its first and $x_j$ as its second argument and once the other way round.” 1

  • every 뒤에 functions가 아닌 단수형 function이 들어왔다.
  • 주어인 “every coupling function in an undirected graph” 의 술어 have가 3인칭 단수인 has로 바뀌었다.

Each

“레이어의 각 노드가 쿠라모토 진동자를 나타내는 두 글로벌 커넥티드 레이어의 멀티플렉스 네트워크 하나를 생각해보자.”

“We take a multiplex network of two globally connected layers; each node in a layer is represented by a Kuramoto oscillator.” 2

  • each 뒤에 nodes가 아닌 단수형 node가 들어왔다.
  • 주어인 “each node in a layer” 의 술어 be가 3인칭 단수인 is로 바뀌었다.

설명

Every는 의미상으로는 집단을 말하지만, 문법적으로는 그 집단 전체를 하나로 보기 때문에 단수형이다. Every student라고 한다면 학생이라는 부류 전체를 말한다. 이 때 학생은 선생님이나 직장인 등과 구분되는 ‘하나의’ 집단 취급을 받는 것이다. 한국어의 사고방식과 가까운 것은 오히려 All이다.

Each는 이어지는 명사의 각각을 한번에 말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집단이 되지만, 문법적으로는 그 각각을 보기 때문에 단수형이다. Each student라고 한다면 여러명의 학생을 말하되 그 개개인을 생각하는 것이다.


  1. Lindner. (2021). NetworkDynamics.jl—Composing and simulating complex networks in Julia. https://doi.org/10.1063/5.0051387 ↩︎

  2. Kumar. (2021). Explosive synchronization in interlayer phase-shifted Kuramoto oscillators on multiplex networks. https://doi.org/10.1063/5.00437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