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미분방정식
인류의 대부분은 다음의 방정식을 불편하게 느낀다.
$$ d X_{t} = f \left( t, X_{t} \right) dt + g \left( t, X_{t} \right) d W_{t} $$
확률미분방정식은 위와 같은 방정식을 말하며, 나름 짬찬 수학도들에게도 친숙하지 않은, 객관적으로 봤을 때도 꽤 어려운 주제다. 기초적인 위상수학, 측도론을 포함한 확률론과 확률과정론을 상당한 수준까지 알아둬야 하는데, 학부생부터 아예 곁가지를 다 쳐내고 확률미분방정식을 전공하겠다고 작정하지 않는 이상은 석사쯤 돼도 아직 어려울 수 있다. 측도론이 쓰이지 않는 확률과정론조차도 학부생 입장에선 꽤 어려운데, 거기에 상미분방정식도 어느정도는 알아둬야하고 선수과목이랑은 또 다른 느낌으로 수리통계학을 체득해놓는 것이 권장된다. 폭넓고 깊은 이해를 위해서는 편미분방정식과 시계열분석, 거기에 응용까지 바라본다면 경제, 금융에 대한 학식도 필요하다.
이토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모델
수치적 풀이
주요 참고문헌
- Øksendal. (2003).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An Introduction with Applications
- Panik. (2017).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An Introduction with Applications in Population Dynamics Modeling
전체 포스트
- 확률미분방정식에서의 백색 잡음
- m2 공간
- 이토 적분
- 이토 등거리 등식
- 이토 곱셈 테이블
- 이토 부분 적분
- 이토 프로세스
- 이토 공식
- 이토 표현 정리와 마틴게일 표현 정리
- 확률미분방정식이란?
- 확률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 강한 해와 약한 해
- 선형, 동차, 자율 확률미분방정식
- 전형적인 확률미분방정식들의 해
- 브라운의 다리
- 온스테인-울렌벡 방정식
- 칵스-잉거솔-로스 모델, CIR Model
- CKLS 평균 복귀 감마 확률미분방정식
- SDE 수치적 해의 강한 수렴과 약한 수렴
- 이토-테일러 전개 유도
- 오일러-마루야마 메소드 유도
- 밀슈타인 메소드 유도
- 람페르티 변환
- 쇼지-오자키 국소 선형화 메소드
- 블랙-숄즈 모델 유도
- 포커-플랑크 방정식 유도
- 브라운 운동의 초함수적 도함수는 백색잡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