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머신러닝에서 온라인 러닝과 배치 러닝이란? 📂머신러닝

머신러닝에서 온라인 러닝과 배치 러닝이란?

개요

온라인 러닝, 배치 러닝, 미니배치 러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의 이름과 차이점이 실제로 중요한 것은 아니며, 별거 아니라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실제로 최근의 딥러닝에서는 미니배치 러닝만 사용된다고 보면 된다.

정의

참값 $\mathbf{y} = \left\{ y_{i} \right\}_{i=1}^{N}$와 이에 대한 추정값 $\hat{\mathbf{y}} = \left\{ \hat{y}_{i} \right\}_{i=1}^{N}$가 주어졌다고 하자. 파라매터 $\theta$에 대한 손실함수를 $L(y, \hat{y}) = L(y, \hat{y} ;\theta)$라고 하자. 파라매터를 최적화하는 메서드를 $f(L, \theta)$라고 할 때, 모든 $i$에 대해서 한 번에 파라매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배치 러닝batch learning이라 한다.

$$ \theta \leftarrow f(L(\mathbf{y}, \hat{\mathbf{y}}), \theta) $$

각각의 $i$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파라매터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온라인 러닝online learning이라 한다.

$$ \begin{align*} &\text{For $i=1$ to $N$} \\ &\qquad \theta \leftarrow f(L(y_{i}, \hat{y}_{i}), \theta) \end{align*} $$

설명

경사하강법으로 예를 들면, 모든 데이터에 대해서 한 번에 그래디언트를 구해서 그걸로 업데이트하면 배치러닝이다.

$$ \text{Batch learning: } \theta \leftarrow \theta - \alpha \nabla_{\theta}L(\mathbf{y}, \hat{\mathbf{y}}) $$

각각의 데이터에 대해서 그래디언트를 구해서 파라매터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반복하면 온라인러닝이다.

$$ \text{Online learning: } \text{For $i=1$ to $N$,}\quad \theta \leftarrow \theta - \alpha \nabla_{\theta}L(y_{i}, \hat{y}_{i}) $$

딥러닝의 우수한 퍼포먼스를 가능하게 한 이유중 하나가 거대한 데이터 셋인데, 이에 대해서 배치러닝을 적용하는 것은 하드웨어 적으로 사실한 불가능하다. 또한 온라인러닝을 적용하기엔 시간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딥러닝에서 사실상 배치러닝, 온라인러닝은 사용하지 않으며 데이터 셋의 부분집합을 단위로 학습하는 미니배치 러닝minibatch learning만이 사용된다. 그렇다보니 미니배치러닝이라는 말도 실질적으로 쓰이지는 않는다. 그냥 학습이라고 하면 당연히 미니배치 러닝을 말한다고 생각하면 되고, 배치 러닝이라는 말도 (미니)배치 러닝을 의미한다고 봐도 된다.

미니배치 러닝

미니배치 러닝이란, 데이터 셋의 크기가 $N = n \times m$일 때, 데이터를 $m$개씩 묶어 $n$개의 부분집합을 만들어 이를 하나의 학습의 단위로 두는 것을 말한다. $\mathbf{y} = \mathbf{b}_{1} \cup \cdots \mathbf{b}_{n}$ $(\left| \mathbf{b}_{i} \right| = m)$이라 하면,

$$ \text{Minibatch learning: } \text{For $i=1$ to $n$,}\quad \theta \leftarrow \theta - \alpha \nabla_{\theta}L(\mathbf{b}_{i}, \hat{\mathbf{b}}_{i}) $$

이때 $m$을 배치 사이즈batch size라고 부르며, $16, 32, 64$ 등 $2$의 제곱수로 두는 것이 일반적이나 꼭 그래야할 필요는 없다.

특히 경사하강법을 미니배치로 적용하는 것을 확률적 경사 하강법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