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버코프 공리계 📂기하학

버코프 공리계

개요

버코프Birkhoff는 힐베르트나 유클리드와는 꽤나 다른 느낌으로 유클리드 기하의 공리계를 설명하려 했고,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체계를 제시했다. 앞선 거장들과 마찬가지로 점, 선, 거리, 각과 같은 용어는 정의 없이 받아들이고 사용한다.

공리 1

$d$ 는 거리다.

정의

  1. 만약 $d (A,B) + d (B,C) = d (A,C)$ 이면, 점 $B$ 가 점 $A$ 와 점 $C$ 사이에between 있다고 한다.
  2. 점 $A$, $C$ 와 함께 그 사이에 있는 모든 점 $B$ 들은 선분line segment $\overline{AC}$ 를 이룬다.
  3. 종점endpoint $O$ 와 반직선half-line $m '$ 은 직선 $m$ 에 있는 두 점 $O$ 와 $A \ne O$ 에 대해 $O$ 가 $A$ 와 $A '$ 사이에 있지 않게 하는 모든 점 $A '$ 의 집합으로써 정의된다.
  4. 만약 서로 다른 두 선이 공통의 점을 가지지 않으면, 그들은 평행parallel하다. 직선은 언제나 스스로에게 평행한 것으로 간주된다.
  5. $O$ 를 지나는 두 반직선 $m$ 과 $n$ 이 있다고 하자. $\angle{mOn} = \pm \pi$ 면 평각straight angle을 이룬다 하고, $\angle{mOn} = \pm \pi / 2$ 면 직각right angle을 이룬다고 하며 $m$ 이 $n$ 에 수직perpendicular이라고 한다.
  6. 서로 다른 세 점 $A$, $B$, $C$ 가 있다고 하면, 세 선분 $\overline{AB}$, $\overline{BC}$, $\overline{CA}$ 는 변 $\overline{AB}$, $\overline{BC}$, $\overline{CA}$ 과 꼭지점 $A$, $B$, $C$ 를 가지는 삼각형triangle $\triangle{ABC}$ 을 이룬다. 만약 세 점이 한 직선위에 놓이면, $\triangle{ABC}$ 가 퇴화degenerate 되었다고 한다.
  7. 두 도형이 닮았다similar는 것은 두 도형의 대응하는 모든 점들의 거리가 비례하고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같은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두 기하적 도형이 합동congruent이란 것은 닮았으면서 비례가 $k = 1$ 이라는 것이다.

공준

  1. 직선 측도 공준postulate of line measurement: 아무 직선 $m$ 의 점 $A, B, \cdots$ 들은 $\left| r_{B} - r_{A} \right| = d (A,B)$ 가 되게끔 하는 실수 $r_{A}, r_{B}, \cdots$ 와 일대일 대응을 줄 수 있다.
  2. 점-직선 공준point-line postulate: 서로 다른 두 점 $P, Q$ 을 포함하는 직선 $m$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3. 각 측도 공준postulate of angle measurement: 아무 점 $O$ 를 지나는 반직선 $m , n$ 들은 $A \ne O$ 와 $B \ne O$ 가 각각 $m$ 와 $n$ 의 점이고 $\left( a_{n} - a_{m} \right) \pmod{2 \pi}$ 가 $\angle{AOB}$ 의 크기가 되게끔 실수 $a \pmod{2 \pi}$ 로 일대일 대응시킬 수 있다.
  4. 닮음 공준: 삼각형 $\triangle{ABC}$ 와 $\triangle{A ' B ' C'}$ 그리고 어떤 양의 상수 $k$ 에 대해, 만약 $d \left( A ' , B ' \right) = k d \left( A , B \right)$ 이고 $d \left( A ' , C ' \right) = k d \left( A , B \right)$ 이면서 $\angle{BAC} = \pm \angle{B ' A ' C '}$ 이면, $d \left( B ' , C ' \right) = k d \left( B , C \right)$ 이고 $\angle{A ' B ' C '} = \pm \angle{ABC}$ 이면서 $\angle{A ' C ' B '} = \pm \angle{ACB}$ 다.

같이보기


  1. Byer, O., Lazebnik, F., & Smeltzer, D. L. (2010). Methods for Euclidean geometry (Vol. 37). American Mathematical Soc. p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