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파이겐바움 보편성 📂동역학

파이겐바움 보편성

추측

$$ x \mapsto f_{\alpha} (x) \qquad , x \in \mathbb{R}^{1} $$ 위와 같이 정의된 맵으로 표현되는 동역학계가 $\alpha$ 를 바이퍼케이션 파라미터로 가지는 피리어드 더블링 바이퍼케이션을 보인다고 하자. $k$번째 피리어드 더블링이 일어나는 파라미터의 시퀀스를 $\left\{ \alpha_{k} \right\}_{k=1}^{\infty}$ 이라고 할 때, 이들 사이의 길이의 비는 어떤 상수 $\mu_{F} \approx 4.6692 \ldots$ 로 수렴할 것이다1: $$ \lim_{k \to \infty} {\frac{ \alpha_{k} - \alpha_{k-1} }{ \alpha_{k+1} - \alpha_{k} }} = \mu_{F} $$

설명

파이겐바움 추측Feigenbaum conjectures이란, 로지스틱 패밀리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조건 하에서 일어나는 피리어드 더블링은 그 시스템이 무엇이든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비를 가지고 일어난다는 것으로 1978년 파이겐바움에 의해 보고 되었다2.

예를 들어, 로지스틱 맵과 헤논 맵Hénon map은 다른 시스템이지만 다음과 같이 피리어드 더블링의 주기는 같은 점으로 수렴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3.

alt text

결론적으로 이 추측은 사실인 것으로 밝혀져서 파이겐바움 보편성Feigenbaum universality이 되었고, $\mu_{F}$ 는 파이겐바움 상수Feigenbaum constant라 불리게 되었다4 5.

표기에서 시퀀스 $\left\{ \alpha_{k} \right\}_{k=1}^{\infty}$ 는 극한 $\alpha_{\infty}$ 을 가지며, 이는 시스템이 캐어릭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1. Kuznetsov. (1998). Elements of Applied Bifurcation Theory: p139. ↩︎

  2. Feigenbaum, M.J. Quantitative universality for a class of nonlinear transformations. J Stat Phys 19, 25–52 (1978). https://doi.org/10.1007/BF01020332 ↩︎

  3. Yorke. (1996). CHAOS: An Introduction to Dynamical Systems: p504. ↩︎

  4. Lanford. (1982). A computer-assisted proof of the Feigenbaum conjectures: https://doi.org/10.1090/S0273-0979-1982-15008-X ↩︎

  5. Eckmann, JP., Wittwer, P. A complete proof of the Feigenbaum conjectures. J Stat Phys 46, 455–475 (1987). https://doi.org/10.1007/BF010133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