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 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 증명
📂위상데이터분석유한 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 증명
정리
유한 생성 프리 그룹 G 가 아벨리안 그룹이고, T⊂G 를 G 의 토션 서브 그룹이라 하자.
- (1): 유한 랭크 β≥0 를 가지며 다음을 만족하는 프리 아벨군 H⊂G 이 존재한다.
G=H⊕T
- (2): 오더 ti>1 인 유한 순환군을 Ti 라 하자. t1∣t2∣⋯∣tk 와 다음을 만족하는 T1,⋯,Tk 이 존재한다.
T=T1⊕⋯⊕Tk
- (3): β 와 t1,⋯,tk 는 G 에 의해 유일하게 결정된다.
- a∣b 는 a 가 b 의 약수라는 것이다.
설명
기본정리fundamental theorem라는 명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 유한 생성 아벨군의 기본정리는 추상대수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특히 생성원generator이 유한하다는 점에서 위상수학과의 접점이 생긴다.
- 직합의 성질에서 G 와 T 의 몫군은 G/T≃H 임을 알 수 있다.
- (3)에서 β,t1,⋯,tk 가 유일하다고는 했지만 H,T1,⋯,Tk 가 유일하다고 하진 않았던 것에 주의하라.
예시
예로써 G=Z12×Z3 라면, T=Z12 는 G 의 토션 서브그룹이다.
- (1) 유한랭크 β=3 인 프리 아벨군 H=Z3 가 존재한다.
- (2) t1=2 이고 t2=6 을 오더로 가지는 T1=Z2 와 T2=Z6 는 t1∣t2 와 다음을 만족시킨다.
T=Z12=Z2⊕Z6=T1⊕T2
베티 수와 토션 계수
(1)에서 언급되는 유한 랭크 β 를 G 의 베티 수betti number라 부르고, (2)의의 t1,⋯,tk 들을 G 의 토션 계수torsion coefficient라 한다. 이는 (3)에 따라 유일하게 결정되므로, 어쩌면 유한 생성 아벨군 G 가 k+1 개의 자연수로 요약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증명
(1), (2)
유한 집합 S={gi}i=1n 를 G 의 생성원의 집합이라 하고, F:=F[S] 를 S 로 생성되는 프리 아벨리안 그룹이라 하자. λ:F→G 를 gi∈F 를 gi∈G 그 자신에게 보내는 사상map이라고 하면 전사인 호모몰피즘으로 확장될 수 있다.(이는 G 가 유한생성이라는 가정에 의해 보장된다. S 에 속하지 않는 G 의 생성원 또한 유한히 존재하므로 카운터블한 경우의 수만이 존재하며, 어떻게든 대응시킬 수 있다.)
제1동형 정리: 준동형사상 ϕ:G→G′ 이 존재하면
G/ker(ϕ)≃ϕ(G)
R:=kerλ 라 하면 λ 가 전사이므로 λ(G)=G 이고, R 이 λ 의 커널이므로 제1동형 정리에 따라 F/R≃G 다.
프리 그룹의 서브 그룹: F 가 프리 아벨리안 그룹이라 하자.
- [1]: F 의 모든 서브그룹 R 은 프리 그룹이다.
- [2]: 만약 F 가 랭크 n 이라면, F 의 서브그룹 R⊂F 은 랭크 r≤n 인 프리 아벨리안 그룹이다.
- [3]: 그 뿐만 아니라,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F 의 기저 e1,⋯,en∈F 와 자연수 t1,⋯,tk 들이 존재한다.
- (i): k≤r 이고, 모든 i 에 대해 ti>1 이다.
- (ii): t1e1,⋯,tkek,ek+1,⋯,er 은 R 의 기저다.
- (iii): t1∣t2∣⋯∣tk 다. 즉, ti 는 ti+1 를 나눈다.
여기까지, S={gi}i=1n 를 통해 논의한 것과 별개로 F 는 프리 아벨리안 그룹이므로 위 보조정리의 [3]가 적용된 F 와 R 의 기저를 쓰기 편하게 새로이 잡아도 아무 문제 없다. F 는 다음과 같이 ei 를 생성원으로 갖는 무한 순환군 Fi:=⟨ei⟩ 들의 직합
F=F1⊕⋯⊕Fn
이며, R 은 t1∣t2∣⋯∣tk 인 {ti>1}i=1k 에 대해 다음과 같다.
R=t1F1⊕⋯⊕tkFk⊕Fk+1⊕⋯⊕Fr
직합의 성질: G=G1⊕G2 이라고 하자. 만약 H1 이 G1 의 부분군, H2 가 G2 의 부분군이라면, H1 와 H2 역시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다음이 성립한다.
H1⊕H2G≃H1G1⊕H2G2
tiFi⊂Fi 은 각각 Fi 의 부분군이므로,
F/R===t1F1⊕⋯⊕tkFk⊕Fk+1⊕⋯⊕FrF1⊕⋯⊕Fn[t1F1F1⊕⋯⊕tkFkF1]⊕[Fk+1Fk+1⊕⋯⊕FrFr]+⊕Fr+1⊕⋯⊕Fn[t1F1F1⊕⋯⊕tkFkF1]+⊕Fr+1⊕⋯⊕Fn
이다. [ NOTE: 아래 첨자를 나타내기 위해 k≤r≤n 이 쓰였고, 베티 수는 n−k 이 아니라 n−r 이다. 베티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토션 계수의 수만 구한다고 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 한편 F/R≃G 이었으므로, 아이소멀피즘
f:G→(Z/t1Z⊕⋯⊕Z/tk)⊕(Z⊕⋯⊕Z)
이 존재한다. G 의 토션 서브그룹 T 는 f 에 의해 (Z/t1Z⊕⋯⊕Z/tk) 에 대응되어야 하며, 토션 서브그룹은 보존된다.
(3)
스미스 노멀 폼의 유일성에 의해 자명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