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컬러링과 브룩스 정리
정의
루프가 없는 그래프 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함수 를 의 -컬러링이라 한다. 그래프 가 -컬러링을 가지면 -채색가능이라도 한다. 만약 -채색가능인데 -채색가능하지 않으면 그 를 의 크로마틱 수chromatic number라 부르고 와 같이 나타낸다. 크로마틱 수가 인 그래프를 -크로마틱 그래프라 한다.
- 루프 란 버텍스 가 스스로와 인접한 에지를 말한다.
- 는 부터 까지의 자연수를 모아놓은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연수라는 것에는 큰 의미가 없고, 개의 다른 원소면 추상적으로 컬러링의 공역이 될 수 있다. 가령 이어도 상관 없지만, 과 본질적으로 다를 게 없기 때문에 자연수를 쓰는 것이다.
설명
그래프 컬러링을 우리말로 설명하자면 인접한 버텍스끼리 다른 색에 채색―매핑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한 함수는 수없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우리의 관심사가 되는 것은 최소한의 채색이 될 것이고, 따라서 채색가능이라는 표현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래프의 크로마틱 수를 판별하는 문제는 조합론에서 늘 관심을 받아왔으며, 그 중에서도 유명한 것이 한때 난제로 악명 높았던 4색 문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은 NP 문제로, 지금도 기발한 알고리즘과 정리들의 증명을 기다리고 있다.
임의의 그래프에 대해서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채색은 그냥 개의 버텍스를 개의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하는 것이다. 이러한 채색을 그리디 컬러링이라 하는데, 당연히 가장 어리석은 방법이다. 그래프의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정리가 알려져있다. 그래프 컬러링을 접할 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고 가장 유명한 정리는 이 중에서도 브룩스 정리다.
정리 1
- [1]: 컴플리트 그래프: 과 널 그래프 에 대해
- [2]: 가 널 그래프가 아닌 이분 그래프인 것과 인 것은 동치다.
- [3]: 심플 그래프 의 가장 큰 차수를 라고 하면
- [4]: 의 에지의 수를 이라고 하면
- [5] 브룩스 정리: 심플 연결 그래프 가 컴플리트 그래프가 아니고 최대 차수가 면 는
Wilson. (1970). Introduction to Graph Theory: p82. ↩︎